728x90
반응형
파이썬 실습창을 열 수 있습니다.실습창 열기
1. 구문 구조
python 프로그램의 줄 구조, 문장 그룹, 들여쓰기의 구문 구조를 요약하였습니다.
no | contents | sample | description |
1 | 줄 이음 \ 사용 |
x=5 a=(1+x)**3 \ + (1-x)**3 print(a) |
-기본적으로 한 문장은 줄 바꿈 문자(newline)로 끝난다.(엔터 키) -긴 문장은 줄 이음 문자(\)를 사용하여 여러 줄을 작성할 수 있다. ‘\’의 이름은 ‘back slash’이다. |
2 | container \ 생략 |
a=[1, 3,5, 'odd number',] print(a) |
-container(list, tuple, dict, range, set, frozenset)와 같이 (), {}, [] 로 둘러싸인 값들은 줄 이음 문자(\)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항목의 마지막에 코머(,)를 붙여도 된다. |
3 | 삼중따옴표 \ 생략 |
a="""88 seoul olympic""" print(a) |
-삼중 따옴표(''' ''')로 둘러싸인 여러 줄의 문자열은 줄 이음 문자(\)를 생략할 수 있다. |
4 | 여러 문장 ; 사용 |
a=3; b=5; print(a,b) |
-;(semi colon)을 사용하면 같은 줄에 여러 문장을 쓸 수 있다. |
5 | 들여쓰기 4칸 권장 |
a=3 if a==3: a=a*3+1 flag=1 else: a=a/2 flag=0 print(a,flag) |
-들여쓰기는 함수(def), 조건문(if), 반복문(for, while), 클래스(class) 등의 code block을 나타낸다. 한 블록 안에서 첫 번째 문장에 적용되는 들여쓰기(indentation)는 제한이 없지만, 블록 전체적으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a=a*3+1'과 ’flag=1'의 시작 위치가 같아야 한다. -들여쓰기는 4칸을 권장한다(경험에 따르면). * 왼쪽의 프로그램은 a가 3과 같으면 'a*3+1'은 a자신에게, flag에는 1을 할당하고, 아니면 '(a/2)를 a자신에게 flag에는 0을 할당한다. |
6 | 한 문장 블록 같은 줄 가능 |
a=3 if a==3: a=a*3+1 else: a=a/2 print(a) |
-code block이 오직 한 문장이면 줄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 |
7 | 주석 # 사용 |
# 들여쓰기 예 a=3 if a==3: a=a*3+1 else: a=a/2 print(a) |
-#(number sign)은 그 줄의 끝까지 주석인 것을 표시한다. 주석(comment)은 참고 사항을 적는 것으로 실행에 영향은 없다. -많은 줄을 한 번에 주석 처리하려면 블록을 만들고 Ctrl+/ 이다. 전체를 주석 처리하려면 Ctrl+a(전체 블록), Ctrl+/하면 된다. 또는 삼중따옴표로 둘러싼다.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 속의 #은 주석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
8 | 빈 줄 | 줄 사이를 띄운다. |
빈 줄은 무시하므로 code의 가독성을 높일 때 사용할 수 있다. |
2. 할당문
할당문(assignment statement)은 object와 식별자(identifier)를 참조(binding, reference) 시키는 문장입니다.
할당문 사용 방법을 요약하였습니다.
no | form | assignment | description |
1 | '=' 왼쪽에 1개의 변수 |
a=3 | 3을 a에 할당하라. (=의 이름은 할당연산자) |
a=(a+b)/2-1 | ‘=’오른 쪽의 연산 결과를 a에 할당하라. |
||
c="Good morning." | ‘=’오른쪽의 문자열을 c에 할당하라. |
||
2 | ‘=’ 왼쪽에 2개 이상의 변수 |
a,b=3,5 | a에는 3, b에는 5를 순서대로 할당하라. tuple (3,5)를 unpacking한 것이다. |
a,b=b,a | a에 b, b에 a가 할당.된다. (a, b의 객체 바뀜)된다. |
||
k,b,s=2018,"FIFA","Worldcup" | 순서대로 할당 | ||
x,y,z='abc' | x='a', y='b',z='c' | ||
3 | 분할 대입 s[i:j:stride]=r |
s=[0,1,2,3,4,5] s[1:5:2]=[7,8] print(s) |
[0, 7, 2, 8, 4, 5] 출력 인덱스 1, 3의 값을 7, 8로 대체 |
4 | 여러 개의 ‘=’ | a=b=3 | 3을 a에도 할당하고, b에도 할당하라. a와 b는 같다. (3 오브젝트에 이름이 2개) |
t=o=p=a+3*5 | (a+3*5)의 값을 t, o, p에 각각 할당하라. |
||
5 | container 할당문 | datetime=((9,26,2015),(9,48,'am')) (month, day, year),(hour, minute,am_pm)=datetime print(month, day, year, hour, minute, am_pm) # ‘9 26 2015 9 48 am’가 출력된다. |
꼭 알아야 하는 유용한 정보들입니다.
잘 기억하세요.
오늘 끝.
728x90
반응형
'알고리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듬] #37 우선순위와 변수활용 (0) | 2024.04.05 |
---|---|
[알고리듬] #35 내장함수 (0) | 2024.04.05 |
[알고리듬] #32 셑 메소드 (0) | 2024.04.04 |
[알고리듬] #31 딕셔너리 메소드 (1) | 2024.04.03 |
[알고리듬] #30 주민등록번호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