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파이썬(python), 코딩(coding), 알고리듬(algorithm), 인공지능(AI)
머리말
파이썬(python), 코딩(coding), 알고리듬(algorithm), 인공지능(AI), 프로그램(program), 소프트웨어(SW), 엔트리(entry), 컴퓨터(computer), 씨(C), 씨피피(C++), 자바(JAVA), HTML, CSS 등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검색 키워드 입니다. 초등학생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코딩이 인생을 바꿀 기회의 학문인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코딩은 모든 분야의 취업, 창업, 연구, 취미 활동의 필수 역량입니다.
코딩 공부는 파이썬에 의한 알고리듬(Algorithms in Python) 학습을 권장합니다.
알고리듬(창의적 문제해결방법) 학습은 인류의 지혜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공부하여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변화의 핵심이 알고리듬인 것을 인식하고 ‘꾸역꾸역’ 노력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끄는 리더가 되십시오.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서 시작하여 세계적 수준에 이르도록 함께 하겠습니다.
인사말씀
소프트웨어 창조 능력은 개인과 기업 나아가 국가의 생존 요소이다. 소프트웨어 역량이 높은 개인과 기업과 국가가 시대를 선도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 실현’을 국가의 목표로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시대의 흐름이다. 소프트웨어 창조 능력을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체계적으로 알고리듬(algorithm)을 공부하는 것이다.
체계적인 알고리듬 학습과정은 인간의 사고 발달 단계와 일치한다.
산술연산 -> 판단연산 -> 반복연산 -> 함수연산 -> 공간연산 -> 알고리듬 설계 전략
산술연산부터 공간연산까지의 기본적인 사고 체계는 컴퓨터 언어의 구문 구조(syntax)와 같다. 그러므로 구문구조의 심화학습으로 기본적인 컴퓨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설계 전략을 구현할 수 있는 고도 사고 체계는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기 어렵다. 컴퓨터적 사고를 바탕으로 적절한 알고리듬 문제를 해결하여 가는 두뇌 훈련(brain training)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알고리듬은 컴퓨터 언어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대부분의 알고리듬 학습은 추상적인 가상 언어(pseudo language)를 사용한다. 그러나 알고리듬은 본질적으로 컴퓨터 언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알고리듬 학습은 구체적 언어로 코딩(coding)하여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구체적 언어는 파이썬(Python)을 추천한다. 파이썬의 구문 구조는 인간의 사고 체계와 더욱 닮아 있어서 창의적인 알고리듬을 가능하게 한다.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알고리듬 설계(algorithm design), 코딩 구현(coding technique)의 능력위에 뇌신경과 학습 능력, 상식의 이해력을 가진 인공지능 기술을 쌓아 올리자. 우리의 교육과정을 아무 생각 없이 그냥 꾸역꾸역 공부하라.
각종 전략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이 생기게 된다.
※ 알고리듬과 알고리즘

⦁ 알고리듬(Algorithm)과 알고리즘(Algorism)
알고리즘(Algorism)은 숫자를 계산하는 것 즉, 산수(算數)를 의미하고, 알고리듬(Algorithm)은 문제 해결 방법을 의미한다. 혼돈해서 쓰는 사람이 많으며, 'Algorithm'이라 쓰고 '알고리즘'이라 잘못 읽는 사람도 있다. 아마도 일제 강점기에 ‘리듬’을 발음하지 못하여 ‘리즘’으로 발음하는 일본인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알고리듬의 어원
9세기(서기 780~850) 페르시아에 『Abu Ja'far Mohammad ibn Musa al Khowarizimi (아부 자파 모함메드 이븐 무사 알 콰리지미)』 라는 긴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이름의 의미는 ‘자파’의 아버지 이며(Abu Ja'far), ‘무사’의 아들인(ibn Musa), 콰리지미 마을에서 온(al Khowarizimi) 모함메드(Mohammed)이다. 아무튼 이 사람은 인도, 그리스 등의 많은 지식을 집대성하였고 그 중에서 인도의 숫자와 숫자 계산 방법 즉, 산수를 아라비아에 가서 가르친 것 같다. 그것이 또 유럽으로 전해졌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쓰는 숫자를 '아라비아 수' 또는 콰리지미에서 온 사람이 가르쳐 준 수(알 콰라즘, al khowarazm)라고 부르게 되었다. '알 콰라즘'이 변하여 '알고리듬(algorithm)이 된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오늘의 핵심은 파이썬에 의한 알고리듬 학습 (Algorithms in Python)입니다.
코딩의 절정고수(?)가 되는 지름길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알고리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듬] #3 분수식의 연산 (0) | 2024.03.17 |
---|---|
[알고리듬] #2 사칙연산 문제(1) (0) | 2024.03.17 |
[알고리듬] #1 사칙연산 (2) | 2024.03.16 |
파이썬 실습 창 (7) | 2024.03.16 |
파이썬 환경은 쥬피터랩 추천 (1) | 2024.03.15 |